페루-칠레 해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루-칠레 해구는 해양 나스카 판이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면서 형성된 수렴 경계이다. 칠레 삼중점의 일부이며, 나스카 능선과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이 섭입대에 위치한다. 이 해구는 퇴적물로 채워져 있으며, 훔볼트 해류와 엘니뇨 현상에 의해 해양학적 특징을 보인다. 또한, 심해 아귀류가 발견되었고, 나스카 판의 섭입으로 인해 많은 지진이 발생하며, 1960년 발디비아 지진 등 주요 지진이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의 지질 - 남아메리카판
남아메리카판은 남아메리카 대륙과 주변 해역을 포함하는 지각판으로, 백악기에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되어 태평양판의 섭입으로 안데스 산맥을 형성했으며, 여러 판과 접하며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보인다.
페루-칠레 해구 | |
---|---|
개요 | |
종류 | 해구 |
위치 | 태평양, 남아메리카 해안 |
관련 국가 | 페루, 칠레 |
지리 | |
길이 | 5900 km |
너비 | 64 km |
면적 | 590000 km2 |
최대 깊이 | 8065 m |
2. 지질학적 특징
페루-칠레 해구는 수렴 경계에서 나스카 판의 동쪽 가장자리가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면서 형성되었다.[1] 이 해구는 칠레 삼중점의 일부이기도 한데, 이곳은 대양저 산맥과 칠레 상승대가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는 특이한 곳이다.
페루-칠레 해구, 전호, 그리고 중앙 안데스 고원(알티플라노)의 서쪽 가장자리는 페루 남부, 칠레 북부, 볼리비아의 안데스 산맥 경사를 정의하는 "볼리비아 오로클라인"을 형성한다.
2. 1. 칠레 삼중점
나스카 판의 해산 능선인 나스카 능선과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이 이 해구를 따라 섭입대에 들어선다.[1]칠레 삼중점에서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까지 해구는 2km~2.5km의 퇴적물로 채워져 평평한 바닥 지형을 형성한다. 퇴적물은 주로 점토, 화산재, 규질 연니의 해양 퇴적물이 섞인 터비다이트이다.[1]
2. 2. 해저 지형
페루-칠레 해구는 수렴 경계의 결과로, 해양 나스카 판의 동쪽 가장자리가 대륙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는 곳이다.[1] 이 해구는 칠레 삼중점의 일부이기도 한데, 칠레 삼중점은 대양저 산맥과 칠레 상승대가 페루-칠레 해구에서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는 특이한 접합부이다. 나스카 판 내의 두 해산 능선인 나스카 능선과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이 이 해구를 따라 섭입대에 들어선다.칠레 삼중점에서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까지 해구는 2km~2.5km의 퇴적물로 채워져 평평한 바닥 지형을 형성한다. 퇴적물은 주로 점토, 화산재, 규질 연니의 해양 퇴적물이 섞인 터비다이트이다.[1]
2. 3. 퇴적물
칠레 삼중점에서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까지 해구는 2km~2.5km 두께의 퇴적물로 채워져 평평한 바닥 지형을 형성한다. 이 퇴적물은 주로 점토, 화산재, 규질 연니 등의 해양 퇴적물이 섞인 터비다이트로 구성되어 있다.[1]3. 해양학적 특징
무역풍은 적도 부근의 표층 해수를 연안에서 멀리 밀어내어 훔볼트 해류가 칠레 남단에서 페루 북부로 흐르게 한다.[2] 이 해류는 페루 연안에서 일어나는 깊고 영양분이 풍부한 물의 용승과 관련이 있다.[2] 때때로, 엘니뇨 현상이 일반적인 풍향을 교란시키고 용승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영양분이 감소하여 물고기 폐사가 발생한다.
3. 1. 훔볼트 해류
대부분의 경우, 무역풍은 적도 부근의 표층 해수를 연안에서 멀리 밀어내어 훔볼트 해류가 칠레 남단에서 페루 북부로 흐르게 한다.[2] 이 해류는 페루 연안에서 일어나는 깊고 영양분이 풍부한 물의 용승과 관련이 있다.[2] 때때로, 엘니뇨 현상이 일반적인 풍향을 교란시키고 용승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영양분이 감소하여 물고기 폐사가 발생한다.3. 2. 엘니뇨 현상
대부분의 경우, 무역풍은 적도 부근의 표층 해수를 연안에서 멀리 밀어내어 훔볼트 해류가 칠레 남단에서 페루 북부로 흐르게 한다. 이 해류는 페루 연안에서 일어나는 깊고 영양분이 풍부한 물의 용승과 관련이 있다.[2] 때때로, 엘니뇨 현상이 일반적인 풍향을 교란시키고 용승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영양분이 감소하여 물고기 폐사가 발생한다.4. 생물학적 특징
2018년, 아타카마 해구의 깊은 곳에서 번성하는 세 종의 새로운 심해 아귀류가 발견되었다.[3][4]
5. 관련 지진 활동
칠레-페루 해구를 따라 나스카 판이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면서 수많은 지진이 발생한다. 이 지진들 중 일부는 규모, 관련된 쓰나미, 산사태 등으로 인해 주목할 만하다.[5]
5. 1. 주요 지진 목록


칠레-페루 해구를 따라 나스카 판이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수많은 지진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진 중 일부는 규모, 관련된 쓰나미, 산사태로 인해 주목할 만하다.
발생년도 | 지진 이름 | 규모 및 특징 |
---|---|---|
1570년 | 콘셉시온 지진 | Mw ~8.3 |
1687년 | 1687년 페루 지진 | Mw ~8.7 |
1730년 | 1730년 발파라이소 지진 | Ms ~8.7 |
1746년 | 1746년 리마-카야오 지진 | Mw ~8.7 |
1868년 | 1868년 아리카 지진 | Mw ~9.0 |
1877년 | 페루 타라파카 연안[6] | Mw ~8.3 |
1906년 | 1906년 발파라이소 지진 | 해당사항 없음 |
1942년 | 1942년 페루 지진 | Mw 8.2, 쓰나미와 관련된 지진으로, 파열 크기와 진앙은 1996년 지진과 유사 |
1960년 | 1960년 발디비아 지진 | Mw 9.5, 지구에서 기록된 가장 큰 지진 |
1960년 11월 | 1960년 11월 페루 지진 | 긴 진원 지속 시간을 보였고, 서로 다른 모멘트 계산 방법 간에 상당한 불일치를 초래했음 (Ms 6.75 vs Mw 7.8) |
1970년 | 1970년 앙카시 지진 | Mw 7.9, 눈과 얼음 성분이 많은 산사태를 유발하여 약 68,000명의 사망자를 냄. |
2001년 | 2001년 남부 페루 지진 | Mw 8.4 |
2005년 | 2005년 타라파카 지진 | 해당사항 없음 |
2007년 | 2007년 토코피야 지진 | 해당사항 없음 |
2007년 | 2007년 페루 지진 | Mw 8.0 |
2010년 | 2010년 칠레 지진 | Mw 8.8, 쓰나미와 관련된 지진 |
2010년 | 2010년 피칠레무 지진 | 해당사항 없음 |
2014년 | 2014년 이키케 지진 | 해당사항 없음 |
2015년 | 2015년 일라펠 지진 | 해당사항 없음 |
5. 2. 지진 발생 원인
페루-칠레 해구는 해양 나스카 판의 동쪽 가장자리가 대륙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는 수렴 경계의 결과로 발생한다.[1] 칠레 삼중점은 대양저 산맥과 칠레 상승대가 페루-칠레 해구에서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되는 특이한 접합부이다. 나스카 판 내의 나스카 능선과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 ஆகிய 두 개의 해산 능선이 이 해구를 따라 섭입대에 들어선다.칠레 삼중점에서 후안 페르난데스 능선까지 해구는 2km에서 2.5km의 퇴적물로 채워져 평평한 바닥 지형을 형성한다. 퇴적물은 주로 점토, 화산재, 규질 연니의 해양 퇴적물이 섞인 터비다이트이다.[1]
칠레-페루 해구를 따라 나스카 판이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수많은 지진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진 중 일부는 규모, 관련된 쓰나미, 산사태로 인해 주목할 만하다.
지진 | 규모 | 특징 |
---|---|---|
1570년 콘셉시온 지진 | Mw ~8.3 | |
1687년 페루 지진 | Mw ~8.7 | |
1730년 발파라이소 지진 | Ms ~8.7 | |
1746년 리마-카야오 지진 | Mw ~8.7 | |
1868년 아리카 지진 | Mw ~9.0 | |
1877년 페루 타라파카 연안[6] | Mw ~8.3 | |
1906년 발파라이소 지진 | ||
1942년 페루 지진 | Mw 8.2 | 쓰나미와 관련된 지진으로, 파열 크기와 진앙은 1996년 지진과 유사 |
1960년 발디비아 지진 | Mw 9.5 | 지구에서 기록된 가장 큰 지진 |
1960년 11월 페루 지진 | M영어s 6.75 vs M영어w 7.8 | 긴 진원 지속 시간을 보였고, 서로 다른 모멘트 계산 방법 간에 상당한 불일치를 초래했음 |
1970년 앙카시 지진 | Mw 7.9 | 눈과 얼음 성분이 많은 산사태를 유발하여 약 68,000명의 사망자를 냈다. |
2001년 남부 페루 지진 | Mw 8.4 | |
2005년 타라파카 지진 | ||
2007년 토코피야 지진 | ||
2007년 페루 지진 | Mw 8.0 | |
2010년 칠레 지진 | Mw 8.8 | 쓰나미와 관련된 지진 |
2010년 피칠레무 지진 | ||
2014년 이키케 지진 | ||
2015년 일라펠 지진 |
5. 3. 지진 피해
칠레-페루 해구를 따라 나스카 판이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수많은 지진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진 중 일부는 규모, 관련된 쓰나미, 산사태로 인해 주목할 만하다.
발생 시기 | 지진 이름 | 규모 및 특징 |
---|---|---|
1570년 | 1570년 콘셉시온 지진 | Mw ~8.3 |
1687년 | 1687년 페루 지진 | Mw ~8.7 |
1730년 | 1730년 발파라이소 지진 | Ms ~8.7 |
1746년 | 1746년 리마-카야오 지진 | Mw ~8.7 |
1868년 | 1868년 아리카 지진 | Mw ~9.0 |
1877년 | 페루 타라파카 연안[6] | Mw ~8.3 |
1906년 | 1906년 발파라이소 지진 | |
1942년 | 1942년 페루 지진 | Mw 8.2, 쓰나미와 관련된 지진으로, 파열 크기와 진앙은 1996년 지진과 유사 |
1960년 | 1960년 발디비아 지진 | Mw 9.5, 지구에서 기록된 가장 큰 지진 |
1960년 11월 | 1960년 11월 페루 지진 | 긴 진원 지속 시간, 서로 다른 모멘트 계산 방법 간 상당한 불일치 (M|s|link=y영어 6.75 vs M|w|link=y영어 7.8) |
1970년 | 1970년 앙카시 지진 | Mw 7.9, 눈과 얼음 성분이 많은 산사태로 약 68,000명의 사망자 발생. |
2001년 | 2001년 남부 페루 지진 | Mw 8.4 |
2005년 | 2005년 타라파카 지진 | |
2007년 | 2007년 토코피야 지진 | |
2007년 | 2007년 페루 지진 | Mw 8.0 |
2010년 | 2010년 칠레 지진 | Mw 8.8, 쓰나미와 관련된 지진 |
2010년 | 2010년 피칠레무 지진 | |
2014년 | 2014년 이키케 지진 | |
2015년 | 2015년 일라펠 지진 |
참조
[1]
백과사전
Peru-Chile Trench
http://www.britannic[...]
2014-04-21
[2]
웹사이트
Peru-Chile Trench
http://oceana.org/en[...]
2014-04-21
[3]
간행물
Scientists discover three new sea creatures in depths of the Pacific Ocean
The Washington Post
2018-09-12
[4]
웹사이트
'Gel-like' see-through fish discovered 7.5 km down on Pacific ocean floor
https://www.theguard[...]
2018-09-15
[5]
뉴스
USGS Authors New Report on Seismic Hazard, Risk, and Design for South America
https://www.usgs.gov[...]
USGS
[6]
웹사이트
Historic World Earthquakes: Chile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